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그룹별 특성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강아지 견종을 분류하여 알 수 있는데요.
워킹 그룹 : 견종 분류 3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워킹 그룹, 사역견)
미국애견협회(AKC) 7그룹(American Kennel Club 7 Group)
미국애견협회인 미국켄넬클럽(AKC)는 세계 3대 등록기관 중 하나로 오늘날 가장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3그룹인 '워킹 그룹(사렵견)'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워킹그룹 (Working Group: 사역견 그룹) 이란?
워킹 그룹은 말 그래도 걷다(Walking)의 뜻으로, 네 발로 걸어다니며 사람을 도왔던 견종들을 말합니다.
이름 그대로 사역, 일을 위한 견종이 많습니다. 특별한 어떤 견종이라기 보다는 일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유익한 견종을 분류해 놓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농장이나 들에서 수레를 끌면서 일하는 견종으로 힘도 세고 늑대의 습성이 가장 많이 살아있는 품종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통제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해 초보자들이 키우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거의 중대형의 크기로 마당이 있는 주택에서 키워야 합니다.
재산을 지키거나, 썰매를 끌고 구조작업을 하는 등 여러가지 사람에게 유용한 일들을 수행했기 때문에 옛날부터 개 자체가 중요한 재산으로 여겨졌습니다.
사람과 함께 일을 하며 노동과 작업을 도왔습니다.원래는 허딩(목축견)들도 워킹 그룹으로 분류되었었지만 목축을 한다는 특색을 인정해 다른 그룹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의 워킹 그룹은 집이나 가족, 재산을 지키는 경비견과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견종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워킹 그룹 : 견종 분류 3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워킹 그룹, 사역견)
특히 여러가지 특수한 능력을 가진 견종도 많은데요. 경찰견, 인명구조견, 경비견, 작업견 등 여러 방면에서 활약을 하고 있고 크기는 다양하지만 하나같이 끈기와 참을성이 있으며 중 대형견 이상이 많습니다.
독립심과 의지가 강하고 경비견으로 활약하는 만큼 작은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큰 목소리를 가지고 있는 견종이 많습니다. 이런 특징은 낯선 사람의 접근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요소기도 합니다.
주요 목적에 알맞게 거의 다 덩치가 크고 힘이 매우 세며 험악하게 생겼습니다.
때로 보호자가 약하다고 느끼면 보호자를 지키기 위해 주변에 대해 경계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매우 훌륭한 견종들이며, 리더쉽이 강한 보호자가 키우기에 적합합니다.
워킹 그룹은 썰매견, 경비견, 작업견, 구조견, 목양견, 경찰견, 군견 등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습니다.
워킹 그룹 : 견종 분류 3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워킹 그룹, 사역견)
썰매견
썰매견들은 추운 지방에서 빠르게 물자나 식량을 조달하기 위해 긴 역사 동안 천천히 개량되어 왔습니다.
썰매개는 썰매를 끄는 개를 말합니다.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에서 운송 수단으로 썼었으나, 오늘날에는 여흥으로 쓰입니다.
그 결과 이중모에 빽빽하고 두꺼운 털들을 지니고 있고 어느정도의 방수 기능을 하며, 체력과 근육이 동시에 발달한 견종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모예드(Samoyed)
흰백색의 털과 입 끝 부분이 살짝 올라가서 생기는 미소가 특징입니다.
순록의 사냥과 순록의 보호, 썰매 끌기 등 이누이트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개이며 지금은 특유의 신비스러운 미소와 백색의 털로 인해 훌륭한 가정견과 쇼독으로 인기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개들은 사람들하고 지내왔으나 이 견종은 썰매를 끌기 위해 같은 종끼리 생활을 많이 해왔기 때문에 서열 정하기에 민감하며 다른 견종에 대하여는 배타적이라고 합니다. 추위에는 강하나 더위에는 상당히 약하므로 옥외견의 경우 개집의 위치와 통풍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시베리안 허스키(Siberian Husky)
시베리아에서 유목생활을 하던 척치(Chukchi)족에 의해 개발된 썰매를 끌던 개입니다.
단단한 근육과 균형 잡힌 몸매를 갖고 있는 늑대와 가장 닮은 품종입니다. 두터운 털로 인해 더운 기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시베리안 허스키종은 혹독히 추운 기후와 눈이 많이 쌓인 경험을 잊고, 즐겁게 사는 동안 이 견종이 계속해서 썰매를 끌어주기를 원하는 소유자들이나 현대의 애견가들에게 가장 인기가 높은 견종입니다.
주인에게 뛰어난 충성심과 복종을 보이며, 인내와 끈기를 갖고 있으며, 적응력도 뛰어나다. 썰매를 끄는 사역견으로 활동량이 많이 요구되므로 충분한 운동을 시켜주어야 스트레스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알래스카 말라뮤트(Alaskan Malamute)
알래스카 원주민의 썰매를 끌던 개의 한 품종이며, 알래스카 주의 공식 개다. 알래스카에 거주하던 맬러뮤트족이 썰매 끄는 개로 오래전부터 소중히 여겨 왔다. 주로 무거운 화물을 운반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모량이 풍성하여 더위에 약한 편이고 자주 빗질 및 솔질을 해주어야 합니다. 털 빠짐이 심하고, 1년에 2번 털갈이를 합니다. 매일 30분 이상의 산책뿐 아니라 하이킹이나 수영, 달리기 등 활동적인 운동이 권장드리고 있습니다. 조기 사회화와 훈련이 필요하며, 힘이 세고 강하지만 성격이 온화하여 경비견에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워킹 그룹 : 견종 분류 3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워킹 그룹, 사역견)'
작업견
작업견들은 매우 다양한 일들을 도왔습니다.
가축을 지키는 목양견의 역할과 짐수레를 끄는 썰매견, 때로는 집이나 가족, 재산을 지키는 경비견의 역할을 골고루 했습니다.
워킹 그룹에는 대부분 대형견이나 초대형견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유가
무거운 짐수레를 끌기도 하고, 야생동물로부터 가축도 지켜야 하기 때문입니다.
버니즈 마운틴 독은 목장에서 일하며 다양한 일을 도왔고, 주로 치즈나 우유의 수레를 끌었다고 하죠.
실제로도 자동차 한 대를 끌 수 있는 힘이 있습니다.
세인트 버나드는 구조견으로 활동했습니다.
산맥에서 길을 잃고 추위에 떠는 사람들에게 맥주를 보급하여 몸의 온도를 높여줘 오랫동안 버티도록 도와줬습니다.

버니즈 마운틴 독(Bernese Mountain Dog)
스위스 베른 지역에서 경비견이나 수레 끄는 개, 소몰이 개로 활용됐습니다. 오늘날에는 가정에서 반려견으로 기르거나 다양한 목적의 사역견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버니즈 마운틴 독은 농장에서 기르는 견종으로 체구는 중형 이상이며 전체적으로 조화롭고 균형이 잘 잡혔있습니다. 성격은 원만하고 유순한 편입니다.

세인트 버나드(Saint Bernard)
스위스의 국견이며, 인명구조를 목적으로 개량한 개의 한 품종입니다.
세인트 버나드는 성격이 온순하여 사람을 잘 따르기도 하고. 낯선 사람에 대해서도 그렇게 심한 경계심을 더러 내지는 않지만, 호기심도 어느 정도 가지고 있는 견종이고, 또 초대형 견종인 만큼 어릴 때부터 복종훈련을 필수적으로 해야 합니다.
스위스 산악지방에서 주로 살아온 견종인 만큼 여름철 고온 다습한 지역인 우리나라에서 사육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편이지만, 온·습도 관리를 잘해준다면 큰 문제가 유발되지는 않습니다.
식사를 빨리하는 습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료 급여에 있어서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레이트 피레니즈(Great Pyrenees)
프랑스 피레네 산맥에서 가축을 지키기 위해 개량된 개의 한 품종입니다.
산악의 고지대에서 추위를 이겨내며 늑대, 곰, 들개, 도둑들로부터 양 떼를 지키는 목축견의 역할을 하였고 목동들이 어두운 밤에도 개를 알아볼 수 있도록 흰색으로 개량되었습니다.
모량이 풍부하고 털 빠짐이 많아 눈보라(Snowstorm)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행동이 느긋하고 더위에 약해 더운 계절에는 게으름을 피우기도 합니다.
활동적인 품종은 아니지만 적당량의 산책은 필요합니다. 보호자를 비롯한 어린아이 와도 잘 지내지만 낯선 사람을 경계할 수 있어 조기 사회화와 훈련이 필요합니다. 영리하지만 독립적으로 양 떼를 지키는 성향이 남아있어 훈련이 쉽지는 않습니다.

자이언트 슈나우저(Giant Schnauzer)
반려견으로 널리 인기 있는 대형견으로 원산지는 독일 뮌헨 근처 지방입니다.
털이 부드러운 목양견, 털이 거친 저먼 셰퍼드, 그레이트데인, 부비에 데 플랑드르 사이의 교배에 의해 만들어진 품종입니다.
처음에는 목양견으로 이용되었으나 지금은 목양견으로 이용되는 예는 거의 없다고 합니다.
제1차 세계대전에는 주로 경비견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성격은 대담하고 용감하며 활기찬 편이며, 또 침착하고 감각이 예민합니다. 여기에 큰 몸집이 어울려 믿음직하며 주인에게 충성스럽고 주인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애완동물이나 어린이들과도 잘 어울려 놉니다. 애완용으로 인기가 있지만 경찰견과 군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워킹 그룹 : 견종 분류 3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워킹 그룹, 사역견)
경비견
경비견들은 대부분 사납고 경계심이 많습니다.
지켜야 할 것들이 많거든요.
경비견들은 말이죠.
과거에는 진짜 명견 중에 명견이었습니다.
하지만 현재는 맹견이죠.
과거의 명견은 지금의 맹견들입니다.
강아지의 목적이 경비견이 아닌 반려견으로 바뀐 순간부터
많은 견종들이 맹견이 되었습니다.
현대 사회에선 너무나도 위험한 견종들입니다.
목적도 잃었고, 반려견으로써의 역사는 너무 짧거든요.

마스티프(Mastiff)
투견의 피가 흐르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품종 가운데 하나입니다.
현존하는 견종 중 다수가 마스티프의 피를 이어받은 만큼 뛰어난 개에는 틀림없다 볼 수 있습니다. 체구가 크고 성장이 빠르므로 사료가 많이 들어가며 비만을 방지하기 위한 운동이 반드시 필요한 견종입니다. 대형견의 일반적인 특징인 게으름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의외로 민감하고 충실합니다. 아무리 얌전하다고 해도 초대형견이며, 투견의 피가 흐르고 있는 만큼 만일에 대비해서 복종 훈련이 꼭 필요합니다.

도베르만핀셔(Dobermann Pinscher)
독일 원산지입니다. 19세기 독일의 루이스 '도베르만'이라는 세금징수원은 세금을 징수할 때 자신과 함께 동행하며 자신을 보호해줄 수 있는 호신용 개를 원하였습니다. 그 결과 ' 맨체스터 테리어'의 조상인 '블랙 앤 탄 테리어'와 부드러운 털을 지닌 목축견을 교배하여 본 품종을 탄생시킨 품종입니다.
이후 호신용 개로서의 능력을 인정받아 현재까지 세계 각국에서 경찰견, 군견, 장애인을 위한 치료 및 서비스견, 수색 및 구조견, 스포츠견 등으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활동성이 높아 많은 운동량이 필요합니다. 매우 영리하고 빠르게 반응하지만 공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순종 훈련과 사회화가 굉장히 중요시되는 품종입니다. 털이 매우 짧아 미용과 손질은 쉬운 편이지만 털 빠짐은 있는 편이다.

로트와일러(Rottweiler)
조상은 고대 로마의 멧돼지 사냥개였던였던 로마 드로버 도그(Roman Drover Dog)라고 합니다.
로마군이 유럽으로 원정할 때 식량용 소를 호위한 것을 계기로 유럽 남부의 알프스 지역에 남아 정착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중세시대에 독일 로트바일 (Rottweil) 지방에서 정육업자들이 소몰이와 가축 보호를 위하여 현지의 목양견과 교배해 경비견으로 개량해 현재의 로트와일러가 되었습니다.
용감한 성격을 가지고 있어 침입자를 맹렬히 공격하는 대담한 성격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경찰견이나 집을 지키는 경비견으로서 타고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애정도 풍부하여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한 편입니다. 운동량도 많고, 털 빠짐 등 여러 가지 관리상 아파트나 빌라 등은 양육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아키타(Akita)
일본 혼슈 지방 아키타현의 번주(蕃主)가 무사들에게 무예의 전통을 가르치기 위해 이 개를 투견으로 사용하면서 알려졌다고도 하고, 아키타현으로 유배 간 어떤 귀족에 의해 지방견이었던 이 개가 더 커지고 사냥 능력이 향상되도록 개량되었다고도 합니다.
힘이 세고 민첩하며 골격이 튼튼 하한 것이 특징입니다.
두려움이 없고 사냥에 능숙하며, 주인에 대한 충성심이 강합니다. 사람에게 호의적이며 기억력이 좋고 협동심이 강한 반면, 애교가 없고 노는 것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워킹그룹 (사역견 그룹)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될 만한 관련 포스팅 함께 첨부해 드릴게요!
워킹 그룹 : 견종 분류 3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워킹 그룹, 사역견)
스포팅그룹 : 견종 분류 1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그룹별 특성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스포팅그룹 : 견종 분류 1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
ablog.jiiinyo.com
하운드 그룹 : 견종 분류 2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그룹별 특성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강아지 견종을 분류하여 알 수 있는데요. 하운드 그룹 : 견종 분류 2 그룹 (AKC 견
ablog.jiiinyo.com
테리어 그룹 : 견종 분류 4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그룹별 특성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강아지 견종을 분류 하여 알 수 있는데요. 미국애견협회(AKC) 7그룹(American Kennel Club 7 Gr
ablog.jiiinyo.com
토이 그룹 : 견종 분류 5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그룹별 특성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강아지 견종을 분류 하여 알 수 있는데요. 토이 그룹 : 견종 분류 5 그룹 (AKC 견종분류,
ablog.jiiinyo.com
논 스포팅그룹 : 견종 분류 6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그룹별 특성을 하나하나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할게요!! 강아지 견종을 분류 하여 알 수 있는데요. 미국애견협회(AKC) 7그룹(American Kennel Club 7 Gr
ablog.jiiinyo.com
허딩 그룹 : 견종 분류 7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허딩 그룹 : 견종 분류 7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허딩 그룹, 목양견) 이번 포스팅에서는 저번 포스팅에서 알아본 강아지
ablog.jiiinyo.com
강아지를 분류하는 그룹? (AKC 견종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분류하는 그룹? (AKC 견종 분류, 미국애견협회, 강아지 그룹별 특성, 강아지 그룹별 특징, 강아지 그룹별 종류) 오늘은 우리가 키우게 될 강아지가 어떤 분류로 나뉘는지 아던
ablog.jiiinyo.com
반려견 입양 전 미리 준비하세요!!(준비물, 강아지 정보)
나의 가족으로 새로운 강아지를 입양하기로 결정했다면 필수 확인해야 하는 사항이 몇 가지 있는데요! 반려견 입양 시 체크 사항 리스트 강아지 입양 전 체크하세요!! 낯선 곳 환경에서도
ablog.jiiinyo.com
댓글